1편에서 람다식에서 생략 가능한 부분이 있고,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람다식 안에서 사용하는 변수의 제한적인 부분이 있다고 했었다. 우선 람다식에서 생략 가능한 문법에 대해서 정리 해보자. 추상메서드의 매개변수에 따라 생략 가능한 부분이 조금 다르기 때문에, parameter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자. 1. parameter : 없음 public class FunctionalInterface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 { // 매개변수가 없는 경우 ()는 무조건 작성해 줘야 한다. FInterface fi_1 = () -> { }; // 구현부가 여러 라인인 경우 { } 안에 작성해야 한다. FInterface..